ecsimsw
대부분 못 지키고 있는 REST 제약조건 본문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지금껏 RESTful 한 API를 설계하고 있는 줄 알았다. 'REST API 설계 가이드'를 구글링하고 다른 블로그 들에서 소개하는 REST API 형식에 따라 적절한 요청 메소드와 URL, 에러 코드와 응답 내용만 맞추면 그게 RESTful 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응준님의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세미나를 보고, 그 생각이 완전히 부서졌다. 지금 내 설계를 REST API라는 단어로 표현하면, REST API를 처음 소개하고 제안한 로이 필딩이 노하실 것이다.
그래서 왜 Rest API라고 불리우는 인터페이스들이 로이 필딩이 제안한 RESTful이 아닌 건지, 그럼 진짜 REST API는 어떻게 만드는 건지 정리하고자 한다.
"I am getting frustrated by the number of people calling any HTTP-base interface a REST API... Please try to adhere to them or choose some other buzzword for your API." - Roy T. Fielding
Rest API는?
REST API는 REST를 따라야 한다. 그럼 REST는 뭘까. 다음은 REST는 다음 항목들을 지켜야한다.
Client-Server
Stateless
Cache
Uniform Interface
Layered System
Code-on-Demand (optional)
우리의 REST API가 '진짜 REST API'가 아닌 이유는 대개 4번째 항목, Uniform Interface 조건을 못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HTTP를 따른다는 것에서 그 외의 조건들이 만족되기 때문이다.
그럼 다시 'Uniform Interface'라는 조건을 들어가보자. 다음 네 가지 항목을 만족해야 Unifrom Interface를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Identification of resources
Manipulation of resources through representations
Self-descriptive messages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HATEOAS)
첫 번째 'Identification of resources'는 리소스가 URI로 식별이 되는지,
두 번째 'Manipulation of resources through representations'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응답하는지를 의미한다. 이를 테면 아래와 같은 요청에, JSON 형식으로 정보를 표현해서 응답하는지 여부를 말하는 것이다.
GET /stations/1
Accept: application/json
여기까진 '당연한 것 아니야? 까다롭지 않은데?'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도 이전에 REST API 설계 가이드로 여기까지 확인했던 것 같다. 대부분 이 두 항목까진 잘 지켜지고 있으나, 로이 필딩이 말하는 대다수가 못 지키고 있는 조건은 그 다음 항목들이다. 이후에는 각 조건이 무엇인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설명하고 각 조건을 만족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대부분 못 지키고 있는 REST 제약조건 1 : Self-descriptive messages
'Self-descriptive messages' 는 말 그대로 메시지가 스스로 설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더 지엽적으로 우리에게 맞춘다면, 메시지의 모든 요소는 메시지만 보고 그 뜻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id가 1인 '역' 정보를 조회하는 요청을 보냈다고 하자. 아래 응답을 사람이 아닌, 클라이언트 앱(기계)이 해석할 수 있을까?
{"id":1,"name":"잠실역"}
위 응답이 정상적인 처리에 대한 응답일지 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해석이 가능할지 모르겠다. 모든 응답이 정상적이라면 모르겠으나, 실제론 그렇지 않으므로 그 상태를 명시해줘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HTTP status를 추가한 응답은 어떨까? 다시 이 응답을 사람이 아닌, 클라이언트 앱(기계)이 해석할 수 있을까?
HTTP/1.1 200 OK
{"id":1,"name":"잠실역"}
사람은 이 꼴을 보고 대충 id 필드가 1이고 name 필드가 잠실역인 자원이네~ 하겠지만 기계는 그렇지 않다. 이게 어떤 형식(포맷)으로 작성된 정보인지 알아야 필드와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이다. Content-type을 JSON으로 알려주면, 이 응답을 사람이 아닌, 클라이언트 앱(기계)이 해석할 수 있을까?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id":1,"name":"잠실역"}
JSON 문법을 알아 id는 1, name은 잠실역임 파싱했더라도, "Id"가 뭔지, "name" 필드가 뭘 의미하는지 모른다. 괜찮은 응답처럼 보이고, 대부분 이렇게 응답하지만, 사실은 self descriptive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RESTful 하지 않은 설계가 된다.
Self-descriptive messages를 지키는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Self-descriptive messages 조건을 지킬 수 있을까. "id"와 "name"이 의미하는 바를 명시하라는 것인데, 어떻게 알려줄 수 있을까?
먼저 Media type을 정의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id와 name을 정의하는 미디어 타입을 정의하고 그 타입을 Content-type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ecsimsw.subways+json
{"id":1,"name":"잠실역"}
매번 Media type을 정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아래처럼 link header에 명세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넣어 응답에 넘길 수 도 있을 것이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Link: <https://ecsimsw.com/docs/subway>; rel="profile"
{"id":1,"name":"잠실역"}
이렇게 하면 응답을 받는 쪽도 id와 name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이제 이 응답은 스스로를 설명할 수 있는 메시지가 된 것이다.
대부분 못 지키고 있는 REST 제약조건 2 : HATEOAS
HATEOAS는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의 약자이다. 애플리케이션 상태는 Hyperlink를 이용해서 전이가 되어야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잠실역 단일 조회 상태에서 잠실역의 세부 정보를 조회하거나, 잠실역의 운행 정보를 보는 식으로 접근 가능한 자원들을 hyperlink로 통해 알려줘야한다는 것이다.
hyperlink? HTML이 떠오르지 않은가. a 태그가 존재하고 그것을 통해 다음 상태가 결정되는 HTML은 HATEOAS를 만족한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
<html>
<head></head>
<body>
<h2>잠실역</h2>
<h4><a href="/subways/1/times"></a>운행정보</h4>
<h4><a href="/subways/1/details"></a>세부정보</h4>
</body>
<html>
문제는 JSON이다. 보통은 해당 자원만 넘겨주지, 다음 접근 가능 목록을 고민하여 작성하지 않는다. 대부분 이렇게 응답하지만, 사실 HATEOAS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RESTful 하지 못한 설계라는 것이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id":1,"name":"잠실역"}
HATEOAS를 지키는 방법과 이유
Json으로도 link, location 헤더를 이용해서 다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JSON으로 하이퍼링크를 표현하는 방법을 정의한 명세를 활용할 수도 있다. 아래는 link, location 헤더를 이용해서 HATEOAS를 만족시킨 예시이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Link:</subways/1/times>; rel="times",
</subways/1/detail>; rel="detail"
{"id":1,"name":"잠실역"}
이렇게 HATEOAS를 지키면 Client 사이드에서 link나 location 등, 응답의 필드로 정의된 하이퍼링크를 사용하여 다음 상태를 결정하므로, URI 수정이 발생하더라도 Client 사이드의 수정은 불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역 상세 조회'의 uri가 "/subways/detail/{id}" 에서 "/subways/{id}/detail"으로 변경되었다고 해보자. 간단한 url 변경인데도 애플리케이션 내에 "/subways/detail/"을 직접 사용한 부분은 모두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HATEOAS를 만족하여 서버 쪽 응답의 '역 상세 조회' 링크를 사용해서 요청했다면, 클라이언트 단에서는 수정할 부분이 안생기게 되는 것이다.
'Architecture > 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Source 헬스 체크와 동적 라우팅으로 DB 서버 다운 대비하기 (2) | 2023.12.23 |
---|---|
Future 를 활용한 비동기 이미지 비동기 업로드 흐름과 시연 (0) | 2023.11.28 |
레디스 주요 옵션과 사용 전략 (4) | 2023.11.20 |
도메인 이벤트를 이용하여 의존성 분리 연습 (4) | 2022.01.12 |
Scheduler 적용 배경 / 스레드 풀과 비동기 처리 (2) | 202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