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77)
ecsimsw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XkUU/btqyu8xxNyH/M3LHL8Q76s7SwxMe8TjC41/img.png)
Operating system services - process management - main memory management - Secondary memory management - File management - I/O devices management - Networking management - protection Booting - Boot loader : 하드디스크 안의 OS를 RAM 영역으로 가져옴 - Resident process : OS는 컴퓨터가 꺼질 때까지 RAM에 올라와 있어 붙여짐 Kernel and shell History - No oprating system - Batch processing system : 일괄 처리 - Multi-processing system : 병렬처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0xZ7/btqymer4DtB/oIMk3UcQYwRcik2Ck06DMk/img.png)
Symetric Key - A와 B가 동일한 규격/ 룰의 key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암호화/ 복호화 - 문제는 어떻게 안전한 동일한 key를 공유할 수 있는가에 있다. Public key / Private key - public key와 private key를 동시에 갖는다. - 수신자의 public key로 암호화하여 msg를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고유한 private key로 이를 복호화하여 msg를 얻는다. - 어떤 키를 먼저 사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한다. - 수학적 계산 과정이 너무 복잡해 상호 인증의 과정에서 사용하고, symetric key를 공유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등, symetric key 방식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Authentication / Integrity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QsA4/btqx3Tu9A3s/80XCN0xw1uZGqIdk6c2P51/img.png)
Mobility - 네트워크에서 Mobility는 AP나 네트워크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런 변동 상황에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을 생각하기 전에, 연결 자체를 생각해보면 Transport layer에서 socket을 통해 두 매체가 연결되고 이 connection이 유일하게 인덱싱 되어야 한다. 이 connection을 인덱싱, 유일하게 표현하는 방법은 두 매체 각각의 ip주소와 port이고, 연결이 유지된다는 말은 즉 이 두 매체의 ip주소/port의 변동이 없다는 말과 같다. -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AP가 바뀐 A_host 가 ip/port를 이전과 같이해서 Router X의 프레임을 받게 하고 싶다. 라우터 입장에서 스위치는 의미가 없는 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LRbN/btqx4qFOgkl/o3AShTPN3bTGm2kOMGeyHK/img.png)
wireless LAN frame structure - 위는 유선 네트워크, 아래는 무선 네트워크의 frame 구조이다. FC는 frame control 필드로 MAC 프레임 관련 제어 정보를 담고 있다. Duration / ID 필드는 브로드 캐스트, ACK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담고 모든 노드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필드이다. FCS는 오류 검출용 필드이다. - 중요한 것은 무선 네트워크의 프레임에는 주소를 저장하는 필드가 4개나 있다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1~3, 3개의 주소만을 사용한다. - Address 1 : host or AP to receive Address 2 : host or AP transmitting Address 3 : router interface to wh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WgAO/btqx3UNtz2m/hJmmkNOp4kODADAoPe5UmK/img.png)
Wireless LAN - 결국 첫 홉에 어떻게 무선으로 도달하는지가 중요하다. Beacon frame -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지속적으로 broad casting으로 전송하여 주위 이동 노드로 하여금 scanning이 가능하도록 한다. (AP -> host) Wifi_MAC - wireless LAN는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 감소가 특히 크다. 유선 환경에서 MAC은 매체가 사용 중임을 확인하고 전송한다는 기본 원칙 아래, propagation delay에 의한 소통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SMA/CD를 사용하였다. - 위 그림과 같은 상황처럼 A -> C의 신호가 거리에 의해 급격히 약해지면서 C가 감지하지 못하고, C -> A의 신호 역시 A에 닿지 못하여 A, C는 채널을 독점하고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BTez/btqxSgDZamx/7fmt92gKfljM2PCnHgkGE0/img.png)
Bus / Switch - switch는 위의 오른쪽 그림처럼 여러 기기를 연결하되 domain을 분리하여 collision을 피하는 방식이다. - 위 그림 1과 같은 상황에서 A', B' 가 동시에 A로 전송할 경우 버스 형 같은 경우에는 통로가 하나여서 Collision이 생겼겠지만 switch에서는 동시에 전송하되 switch에서 제어하여 A에게 collision을 피해 보낸다. - switch는 포워딩과 비슷한 원리로 한번에 연결된 여러 port의 노드를 관리한다. 아래 그림처럼 구성된 swtich table에 포트와 그에 연결된 pc를 기록하고, 이를 읽는 식으로 목적 mac 주소에 해당되는 다음 전달 포드를 결정한다. Self learning - forwarding table은 routing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nr59/btqxNUV2TKl/Ukp967ltNCIkJASudiMLLk/img.png)
Ethernet frame structure MAC address - ipAddress는 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제이고, link layer의 주소 체제는 MAC address이다. - MAC address는 제조회사 정보(24bit), 인터페이스 고유 번호(24bit)로 총 48비트로 구성되어있다. ** 이름 - hostname / 집 주소 - ipAddress / 주민번호 - MAC address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PC는 개인의 mac 주소만 알고 있는 상황에서 1:1 캐시 테이블을 이용해서 ipAddress로 MAC Address를 찾는다. 이런 과정을 ARP라고 하고, 반대로 MAC address로 IP를 찾는 방법을 re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