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simsw
Network layer 본문
Router
- Forwarding : forwarding table 을 참조해서 다음 목적지 주소를 파악
- Routing : forwarding table 생성
- Forwarding table : 주소 범위와 Link interface 가 매칭되어 있어, 주소 범위에 매칭되는 엔트리가 있드면 해당 link interface와 매핑된다.
IP packet
- Source, Destination IP address
- Time to Live :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1씩 줄어, 0이 되면 해당 패킷 소멸. 목적지가 잘못되어 해당 패킷이 무한히 네트워크에 남아 이동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
** TCP 헤더와 IP 헤더가 각각 20byte씩으로, IP 패킷은 기본적으로 40 byte의 오버헤드를 갖고 있다. 네트워크에 전체 크기가 40 byte인 패킷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는 ACK 와 같은 응답용인 경우가 많다.
- Fragmentation flag / Fragmentaion offset : link 전송 최대 사이즈(MTU) 보다 패킷 사이즈가 클 때, 패킷을 나눠 처리하기 위한 필드이다. flag는 다음에 올 분열 패킷 여부를, offset은 원래 데이터의 처음 바이트를 표시한다.
** 나눠진 패킷 중 일부를 유실하면 reassemble이 불가능하고 다시 처음부터 재전송을 기다린다.
**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IPaddress
- 가리키고 있는 목적지가 host 자체라기 보다 host의 network interface이다. 라우터는 network interface가 여러개라 여러 각각 다른 IP 주소를 갖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 24bit -> Network ID(subnet, prefix) / 8bit -> host ID
- Subnet mask : prefix의 비트 수를 표시하기 위함, 유효한 prefix 자리만큼 1, host ID 만큼 0 표기
Note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0) | 2019.08.19 |
---|---|
CIDR / NAT (0) | 2019.08.14 |
Tcp_ congestion control / fairness (0) | 2019.08.07 |
Tcp_ flow control / handshake (0) | 2019.08.06 |
Transport layer_TCP (0) | 2019.08.05 |